MMD(MikuMikuDance)는 3D 모델을 활용해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 크리에이터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도 K-POP 커버 댄스, 애니메이션 팬 콘텐츠, VTuber 모델 제작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MMD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은 프로그램 설치부터 모델링, 모션 적용까지 많은 부분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MMD 제작법을 단계별로 설명해 드립니다.
1. MMD 프로그램 설치 및 기본 설정
MMD를 시작하려면 먼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해야 합니다.
1) MMD 다운로드 및 설치
MMD는 공식 사이트에서 무료로 제공됩니다.
- MMD 공식 사이트(https://sites.google.com/view/evpvp/) 에 접속합니다.
- 최신 버전의 MikuMikuDance.zip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 압축을 풀고 MikuMikuDance.exe 파일을 실행하면 프로그램이 시작됩니다.
2) 필수 플러그인 및 코덱 설치
MMD에서 일부 기능을 원활하게 사용하려면 추가 플러그인과 코덱이 필요합니다.
- PMX Editor: MMD 모델을 수정할 때 사용
- DirectX 9.0c: 그래픽 오류 방지를 위해 필수
- Vocaloid Motion Data (VMD): 다양한 모션 파일을 사용할 때 필요
설치가 완료되면 프로그램을 실행해 기본적인 조작법을 익혀보세요.
2. MMD 모델 불러오기 및 모션 적용
MMD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3D 모델과 모션 데이터입니다.
1) MMD 모델 불러오기
MMD 모델은 확장자가 .pmx 또는 .pmd인 파일로 제공됩니다.
- 다운로드한 모델 파일을 MMD 폴더 내 Model 폴더에 저장합니다.
- MMD 실행 후 "파일 → 모델 읽기" 를 선택하여 원하는 모델을 불러옵니다.
2) 모션 데이터(VMD) 적용하기
모션 데이터는 MMD 캐릭터가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을 정의하는 파일입니다.
- "파일 → 모션 데이터 읽기" 를 선택합니다.
- .vmd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를 누르면 모델에 모션이 적용됩니다.
- "재생" 버튼을 눌러 애니메이션을 확인합니다.
이제 기본적인 캐릭터 움직임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3. 배경, 카메라, 이펙트 적용하기
모델과 모션을 적용한 후에는 배경과 카메라, 이펙트를 추가하여 영상을 더욱 멋지게 만들 수 있습니다.
1) 배경(Stage) 추가하기
- "파일 → 배경 → 스테이지 읽기" 를 선택합니다.
- .x 파일 또는 .pmx 배경 모델 파일을 불러옵니다.
- 배경이 추가된 후 모델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지 확인합니다.
2) 카메라 모션 설정하기
MMD에서는 카메라를 조작하여 다양한 앵글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 카메라 모드(View → Camera Mode)로 변경합니다.
- 화면을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로 조정합니다.
- 키프레임 추가 버튼을 눌러 특정 타이밍에 카메라 움직임을 적용합니다.
3) 이펙트 추가 (MikuMikuEffects, MME)
MMD 기본 상태에서는 조명이 단조로워 보일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MikuMikuEffects(MME) 를 설치하고 활용하면 더욱 생동감 있는 연출이 가능합니다.
- MME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 "이펙트 읽기" 옵션에서 원하는 효과를 적용합니다.
- Diffusion: 부드러운 빛 효과
- AutoLuminous: 조명 반짝임 효과
- Water: 물 반사 효과
이제 모델과 모션뿐만 아니라 배경과 효과까지 적용한 멋진 애니메이션이 완성됩니다.
MMD는 처음 접하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프로그램 설치부터 모델과 모션 적용, 배경과 이펙트 활용까지 순서대로 익히면 누구나 쉽게 멋진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양한 모델과 모션을 활용해 나만의 개성 있는 MMD 영상을 제작해 보세요. 이제 직접 MMD를 실행하고, 여러분만의 창작물을 만들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