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연구할 때 동양사와 서양사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과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한국 역사 작가들도 이 두 가지 방향에서 연구를 진행하며, 각각의 특성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동양사와 서양사를 연구하는 한국 역사 작가들의 연구 방향을 비교하고, 대표적인 작가와 저서를 소개하겠습니다. 동양사와 서양사 중 어떤 분야에 더 관심이 있는지 고민하는 역사 전공자나 역사 애호가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동양사 연구 – 한국 역사 작가들의 관점과 연구 주제
동양사는 중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 지역의 역사를 포함하며, 전통적으로 조선시대부터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습니다. 한국 역사 작가들은 한국사를 중심으로 동양사의 흐름을 분석하며 연구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동양사 연구의 특징
✔ 중국과 한국의 관계, 한중일 삼국의 정치·외교사 중심
✔ 유교, 불교, 도교 등의 사상적 영향 연구
✔ 동아시아 국제 질서와 한국의 역사적 위치 분석
대표적인 동양사 연구 역사 작가
신채호 – 『조선상고사』, 『조선사 연구초』
신채호는 독립운동가이자 역사학자로, 민족주의 사관을 바탕으로 한국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조선상고사』에서는 한국 역사를 주체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강조하며, 동양사 속에서 한국의 독자성을 부각시켰습니다.
이이화 – 『한국사 이야기』
이이화는 한국사를 동아시아 역사 속에서 풀어내며, 한국과 중국, 일본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를 남겼습니다.
노태돈 – 『한국 고대사 연구』, 『고구려사 연구』
노태돈은 한국 고대사를 연구하며 한중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의 독립적인 흐름을 정리한 학자입니다.
정재정 – 『한일 관계사 50년』
정재정은 한일 관계 연구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역사적 충돌과 협력 과정을 분석하며, 한일 역사 갈등의 원인을 연구하는 데 집중해 왔습니다.
2. 서양사 연구 – 한국 역사 작가들의 연구 방향과 핵심 주제
서양사는 유럽과 미국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역사 분야로, 한국에서는 근현대 서구 열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한국 역사 작가들은 서양사 속에서 한국의 근현대사와 외교사를 연결하여 연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양사 연구의 특징
✔ 유럽과 미국의 근현대 역사 중심 연구
✔ 민주주의, 산업혁명, 세계대전 등의 정치·경제사 연구
✔ 서양과 한국의 외교 관계 및 국제 질서 분석
대표적인 서양사 연구 역사 작가
한철호 – 『서양사 강의』, 『서양사 연구』
한철호 교수는 서양 근현대사를 연구하며, 유럽의 역사적 흐름과 한국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습니다.
최덕수 – 『제국과 식민지』
최덕수는 제국주의와 식민지 연구를 통해 서구 열강과 아시아 국가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며, 서양사 연구가 한국 근현대사 연구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설명합니다.
김기협 –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
김기협은 서구 열강과 한국의 관계를 분석하며, 한국 근대사가 서양의 영향 속에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연구합니다.
박지향 – 『제국의 시대』, 『근대 유럽의 탄생』
박지향 교수는 유럽 근대사 연구자로, 제국주의와 유럽 역사의 발전 과정을 분석하며, 한국 역사와의 연계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3. 동양사 vs 서양사, 연구 방향의 차이점
한국 역사 작가들은 동양사와 서양사를 연구하면서 각기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비교 항목동양사 연구서양사 연구
연구 지역 | 중국, 일본, 한국 등 동아시아 | 유럽, 미국 등 서구 국가 |
주요 연구 주제 | 유교·불교·도교 사상, 한중일 외교 관계, 고대사 | 민주주의 발전, 산업혁명, 세계대전, 국제관계 |
대표 작가 | 신채호, 이이화, 노태돈, 정재정 | 한철호, 최덕수, 김기협, 박지향 |
연구 방식 | 사서(史書) 중심의 문헌 연구 | 사료 분석 및 현대적 해석 |
한국사와의 연계성 | 한국이 동아시아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위치 분석 | 서양 근대사의 영향 속에서 한국의 변화 분석 |
동양사 연구는 한국사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서양사 연구는 한국 근현대사가 국제적으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론: 동양사와 서양사, 어떤 연구가 더 적합할까?
동양사와 서양사 연구는 서로 다른 관점과 연구 방법을 요구하지만, 한국사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분야를 모두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국 역사 작가들은 동양사에서는 한중일 관계와 한국 고대사를, 서양사에서는 제국주의와 국제관계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역사 연구를 시작하려는 사람이라면 자신이 관심 있는 시대와 주제를 먼저 정한 뒤, 동양사와 서양사 중 어떤 연구가 더 적합한지 고민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동양사의 깊이 있는 사료 연구가 필요하다면 신채호나 노태돈의 저서를, 서양사의 국제적 관계를 이해하고 싶다면 박지향이나 한철호의 저서를 추천합니다.